062형급 함포초계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062형급 함포초계정은 1950년대 말 중국 해군이 기존 초계정의 성능 부족을 인지하고 개발한 함정이다. 0111형을 기반으로 1963년 062형으로 명명되었으며, 상하이-I급, 상하이-II급, 상하이-III급(062I형) 등으로 분류된다. 상하이-II급은 135톤의 배수량, 38.78m의 길이, 28.5노트의 속도를 가지며, 37mm 쌍열포, 25mm 함포, 대잠 폭뢰 등을 탑재한다. 062형은 중국, 북한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으며, 북한 해군의 경우 서해 NLL 등에서 잠재적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해군 함정 - 조선인민군 해군
조선인민군 해군은 1946년 6월 5일 창설되어 동해함대와 서해함대로 나뉘어 연안 방어 및 특수작전부대 침투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김정은 시대에 전술핵 탑재 시도와 함께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해군 함정 - 상어급 잠수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군이 운용하는 소형 잠수함인 상어급 잠수함은 연안 초계 및 공작원 침투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강릉 무장공비 침투 사건으로 나포된 함선이 전시되어 있고, 개량형인 상어-II도 개발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에 관한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에 관한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062형급 함포초계정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급 | 포정 |
운용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이전 함급 | & es |
이후 함급 | 062I형 (상하이 III급) |
함급 종류 | 상하이 I급 포정 상하이 II급 포정 |
취역 기간 | 1950년대-1990년대 |
총 건조 척수 | 30척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총 완공 척수 | 30척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총 퇴역 척수 | 30척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제원 | |
함 종류 | 포정 |
만재 배수량 | 상하이 I급: 상하이 II급: |
길이 | 상하이 I급: 상하이 II급: |
폭 | 상하이 I급: 상하이 II급: |
흘수 | 상하이 I급: 상하이 II급: |
추진 | 2 × 소비에트 M50F-4 디젤 엔진, 2 × 12D6 디젤 엔진, 4 × 축 |
항속 거리 | at |
승조원 | 36명 |
센서 및 처리 장치 | |
레이더 | 1 × 항해용 또는 수상 탐색 레이더 |
무장 | |
무장 (상하이 I급) | 1 × 66식 연장포 4 × 61식 기관포 (2×2) 8 × 폭뢰 |
무장 (상하이 II급) | 4 × 중국 61식 기관포 (2×2) 4 × 중국 61식 기관포 (2×2) 1 × 중국 무반동총 (일부) 8 × 폭뢰 |
기타 |
2. 개발 배경
1950년대 말, 중국 해군은 기존 소형 초계정의 화력 및 항속 거리 부족을 인지하고 새로운 100톤급 초계정 개발에 착수했다.[1] 해군(PLANS)의 '''바다 고래(Hai Jing, 海鲸)'''를 기반으로 한 '''0108형''' 함포초계정[1]은 전 중화민국 해군 No 101번의 E보트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단 1척만 건조되고 퇴역하여 성공적이지 못했다. 이후 황푸 조선소에서 건조된 '''0110형''' 함포초계정[1]은 1960년에 총 3척이 완성되었다. 0105형, 0108형, 0110형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1], 해군은 다롄 조선소에 새로운 요구 사항을 부여했으며, 1961년에 '''0111형'''으로 지정된 첫 번째 유닛이 완성되었다.[1] 1962년 10월 평가 완료 후,[1] 해군은 0111형을 기반으로 설계를 개선하고 대량 생산하기로 결정했다.[1] 708 연구소에서 개선된 재설계 0111형 갑(甲)은 1963년 7월, 공식적으로 062형으로 지정되었다.
3. 함급별 특징
3. 1. 상하이-I급 (062형 초기형)
초기 062형 초계정은 상하이-I급 초계정(Shanghai-I class gunboat)으로 12척이 건조되었다. 일부는 1990년대까지 운용되었다. 상하이-I급은 후속 모델인 상하이-II급보다 약간 작고 배수량이 125톤이며, 선수에 중국형 66 57mm 쌍열포가 배치되어 있다. 상하이-I급의 크기는 36 m x 5.5 m x 1.6 m이며, 다른 제원은 상하이-II급과 동일하다. 상하이-II급에는 57 mm 대신 37mm 쌍열포를 부착했다.
3. 2. 상하이-II급 (062형)
062형 함포초계정(NATO 보고명: '''상하이 I & II급''')은 산터우급 초계정 및 황푸급 초계정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된 함포 초계정이다.[2] 1950년대 후반, 중국 해군은 기존 초계정의 화력 및 항속 능력 부족을 인지하고, 더 강력한 함포 초계정 개발에 착수했다. 뤼다, 칭다오, 상하이, 광저우 등 여러 조선소에서 다양한 시제품이 건조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1960년 0111형이 건조, 양산형은 062형으로 명명되었다.[2]
062형은 초기형인 상하이 I급과 개량형인 상하이 II급으로 나뉜다. 상하이 I급은 125톤, 상하이 II급은 135톤의 배수량을 가졌으며, 상하이 I급은 중국 66식 57mm 쌍열포를 함수에 장착한 반면, 상하이 II급은 37mm 쌍열포로 교체했다.[2]
상하이-II급 초계정은 배수량 135톤, 길이 38.78m, 빔 5.41m, 드래프트 1.55m이다. 28.5노트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16.5노트에서 750해리의 항속거리를 가진다. 추진 체계는 2개의 소비에트 M50F-4와 2개의 12D6 디젤 엔진으로 구성되며, 각각 4개의 샤프트에 1,200마력과 910마력을 제공한다. 승조원은 36명이다. 무장으로는 중국형 61 37mm 함포 4문(2문씩 2묶음), 중국형 61 25mm 함포 4문(2문씩 2묶음) 및 8개의 대잠 폭뢰를 탑재한다. 또한, 1개의 항해 또는 표면 탐지 레이다를 장착하고 있다.
062형에 탑재된 L-12V-180 디젤 엔진은 과열, 연료 과소비, 짧은 수명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더 작은 L-12D-6 디젤 엔진이 도입되었으나, 최고 속도가 28.5노트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속도 감소는 중국 해군을 실망시켰고, 30척 건조 후 생산이 중단된 이유 중 하나였다.[2]
062형은 30척 이상 건조되었으며, 일부는 1990년대 초까지 현역으로 운용되었다. 이후 여러 국가에 수출되어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다.
3. 3. 푸순급 기뢰제거정
푸순급 기뢰제거정은 상하이-II급 초계정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이 함정은 무장을 줄이고 기뢰 제거 장비를 장착한 것이 특징이다. 상하이-II급 초계정과 다른 제원은 동일하다. 20척이 건조되어 훈련용으로 사용되다가 퇴역했다.
3. 4. 상하이-III급 (062I형)
062I형 함포 초계정(NATO: 상하이 III급)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기존 062형 (상하이 I & II급) 함포 초계정의 후속함이다. 상하이 III급 함포 초계정은 이전 모델보다 무장이 더 강화되었으며, 14.5 mm 중기관총을 대체하는 23 mm 기관포를 장착하고 있으며, 배수량은 170톤으로 크기도 상당히 커졌다.
상하이 III급은 2 × 중국제 L-12V-180A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최대 4400마력의 출력을 내며, 4개의 축을 통해 25노트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다. 17노트의 속도로 750해리(약 1,389km)를 항해할 수 있다. 승조원은 43명이다.
무장으로는 4문의 중국제 76A형 37mm 함포(2연장 2문)와 4문의 중국 또는 소련제 23mm 중기관총(2연장 2문)을 장착하고 있다. 탐지 장비로는 Pot Head 표면 탐색 레이더가 탑재되어 있다.
상하이 III급 함포 초계정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보다 해외 해군에서 훨씬 더 많이 운용되고 있으며, 중국 해군에서 운용하는 함정은 주로 해외 승무원 훈련에 사용되며, 모든 수출형 함정이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은 아니며, 각기 다른 고객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르다. 이 함정들은 주로 연안 및 내륙 순찰에 사용된다.
3. 5. 하이주이급 잠수함 추적함
하이주이급 함포 초계정은 062I형 급 함포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960년대 초에 실전 배치되었다. 1960년대 중반에 037형 잠수함 초계함이 도입되기 전까지 크론시타트급을 대체하는 임시 방편으로 운용되었다. 062I형은 함포로 시작되었지만, 잠수함 초계정 버전은 해외 승무원을 위한 훈련선이 아닌 실제 작전에 투입되어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서 더 성공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함포 버전은 수출 시장에서 더 성공적이었다.
4. 운용 국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조선인민군 해군에서 운용 중이다.[6] 특히 북한 해군은 대한민국과 인접한 해역에서 운용하며, 서해 NLL 등에서 잠재적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파키스탄 해군,[3] 스리랑카 해군,[3] 동티모르 해군,[5] 콩고 민주 공화국 해군, 방글라데시 해군/해안경비대,[3] 알바니아 해군, 이집트 해군, 세이셸 해안경비대,[4] 시에라리온 해군, 튀니지 해군 등에서 운용하고 있다. 동티모르의 경우 062형 함정이 1972년에서 1989년 사이 루마니아에서 면허 생산되었으며 루마니아 해군 기술진에 의해 흑해 환경에 맞게 개조되었다.[3]
5. 한국에 미치는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Type 062 origin
http://www.mzfxw.com[...]
2019-03-01
[2]
서적
Combat Fleets of the world 1982/1983 Their Ships, Aircraft, and Armament
Editions Maritimes et d'Outre-Mer
[3]
서적
No Easy Answers: The Development of the Navies of India, Pakistan, Bangladesh and Sri Lanka 1945—1996
https://www.navy.gov[...]
Lancer Publishers & Distributors
[4]
웹사이트
New patrol boat to boost Seychelles' capability to better protect EEZ -Archive -Seychelles Nation
https://www.nation.s[...]
2023-12-20
[5]
웹사이트
Government of Timor-Leste: Ceremony for the Delivery of New Patrols Vessels, Jaco Class, to the F-FDTL Naval Force
http://timor-leste.g[...]
[6]
웹사이트
Shanghai II Class Fast Attack Craft (Gun) | Bangladesh Military Forces | BDMilitary.com - The voice of the Bangladesh Armed Forces
http://www.bdmilit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